본문 바로가기

은퇴를 위한 공부

주린이를 위한 시사상식 GNI 란? 국민총소득? 명목 실질 GNI (1인당GNI)

반응형

1. GNI란? 

 -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 GNI)은 가계, 기업, 정부 등 한 나라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에 생산한 총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소득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즉, 일정 기간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해외로부터 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국외 수취요소소득)은 포함되고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국외 지급요소소득)은 제외된다.

 

 GNI = GDP + (국외 수취요소소득 - 국외 지급요소소득)
       = GDP + 국외 순수취요소소득

 - 과거에는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총생산GNP가 사용되다가 GNI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GNP가 교역조건의 변화에 의한 실질적인 소득변화를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GNI는 국민의 후생수준을 측정하는 소득지표인 반면, GDP는 한 국가의 생산활동을 측정하는 생산지표다.

 

 - 경제여건 변화에 따라 생산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에 따라 구매력도 급변하므로 한 나라의 경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생산측면뿐만 아니라 교역조건도 감안한 구매력으로 산정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도입되었다.

 

 국내총생산GDP은 무역손익을 감안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량이나 수출량만 일정하면 실제 국민소득보다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대외거래가 많은 나라에서는 교역조건에 따라 소득수준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수출가격은 오르고 수입가격이 내리면(교역조건 개선) 동일한 수출량으로 더 많은 수입품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수출가격은 내리고 수입가격이 오르면(교역조건 악화) 동일한 수출량으로 더 적은 수입품과 교환하게 되어 무역손실이 발생하는데, 이 손실만큼 구매력은 떨어지고 국민소득도 감소하게 된다.

 

 

 

2. 명목 GNI 와 실질 GNI

 - 명목 GNI : 1인당 국민소득, 국가경제규모 등을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지표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여 산출한다. 

 

 명목 GNI = 명목 GDP + 국외 순수취요소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해외에서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국외수취요소소득'에서 국내의 외국인이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국외지급요소소득'을 차감한 것이다.

우리나라 명목 GNI변화 출처 한국은행

 - 실질 GNI :  실제 재화나 용역을 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산출한다.

 

 이 지표는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를 보다 잘 반영하기 위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에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무역손익'과'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해서 산출하게 된다.

 

 실질 GNI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 국외 순수취요소소득

 

 즉, '실질 GDP'에서 환율이나 수출입 단가가 바뀌면서 생긴 무역손실이나 이익, 즉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을 더해 산출한 금액(실질 GDI)에 다시 실질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한 것이 '실질GNI'이다.

 

 실질 GDI (실질 국내총소득)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3. 1인당 GNI

 - 1인당 GNI는 명목 GNI를 한 나라의 인구수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교를 위하여 보통 시장환율로 환산하여 미달러($)화로 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1인당 GNI 출처 한국은행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체 국민소득의 크기보다는 1인당 국민소득의 크기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1인당 GNI이다.

 

4. 세계 1인당 GNI순위

  - 1위 마카오, 우리나라 27위, 일본 26위, 미국 9위 

출처 세계은행 2019년 자료

 

반응형